Petalinux 6-1. Configuring U-boot
·
Linux/Petalinux
petalinux-config를 통해 부팅에 필요한 핵심 설정(U-Boot, Kernel, Boot Image Packaging 등)을 점검하고 수정해보았다. 이제 우리는 부팅 이외의 주요 설정 항목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Petalinux는 단순한 부트 이미지 빌더가 아니라, Linux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통합 빌드 및 설정 툴이다. 따라서 추가적인 configuration이 중요한데... Petalinux Design Flow를 살펴보면, 사용하는 문서의 출처와 버전에 따라 configuration 단계나 강조하는 flow가 상당히 다르게 표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020.1 Petalinux에 대한 Xilinx 공식 문서에서는 petalinux-config, petalinux-config..
Petalinux 6-0. petalinux-config
·
Linux/Petalinux
Petalinux Design Flow 중 1/3이 끝났다. 이젠 본격적으로 Petalinux 프로젝트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최적화하고, 내가 만든 Vivado 하드웨어 디자인에 맞게 Embedded Linux를 커스터마이징하는 단계인 configuration에 대해 알아보자. PetaLinux에서 petalinux-config 명령을 실행하면, 프로젝트의 핵심 설정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로 진입하게 된다. Zynq SoC 플랫폼의 부팅,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구성 전반을 제어하는 중요한 항목들을 설정할 수 있다. 아래는 각 메뉴 항목의 의미와 주요 설정 가능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Linux Components Selection 리눅스 커널과 관련된 컴포넌트들을 선택하는 메뉴이다. 사용자는 ..
Petalinux 5. rootfs 구축
·
Linux/Petalinux
이전 단계에서 우리는 PetaLinux로 생성한 이미지를 SD 카드에 구워서 부팅을 성공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했던 이미지는 임시 파일 시스템(initramfs)을 사용하여 시스템이 재부팅되면 모든 변경사항이 사라지는 문제가 있다.root@Zybo-Z7-10:~# touch aroot@Zybo-Z7-10:~# lsareboot.........root@Zybo-Z7-10:~# lsroot@Zybo-Z7-10:~# # 재부팅 시, touch로 생성했던 "a" 파일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번 단계에서는 영구적인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rootfs(Root File System)를 구축하고, SD 카드를 부트 파티션과 루트 파티션으로 나누어 완전한 리눅스 시스템을 만들어자.1. 파일 시스템 개념 이해..
Petalinux 4. Build my own Linux Image - Environment Setting
·
Linux/Petalinux
PetaLinux Tools Documentation: Reference Guide - 2020.1 English - Provides operating and reference information for working with docs.amd.com현재까지 Petalinux는 여러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앞선 실습에서는 2017.4 버전을 사용했다. 그러나 pre-built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하드웨어 이미지를 빌드하려면, 여러 호환성 문제로 인해 2020.1 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안정적이다. Petalinux를 빌드하기 전에는 시스템 환경을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 최근 대부분의 컴퓨터는 빌드 요구사항을 충분히 만족하지만, 가상환경(VirtualBox, VMware 등)을 사용할 경..
Petalinux 3. Samlple Project from .bsp
·
Linux/Petalinux
1. Get .bsp file from Digilent RepositoryPetalinux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SD 카드에 굽기 위한 Image File(.iso)를 build 해보자. 이에 앞서 PetaLinux 프로젝트를 특정 보드(ZYBO Z7, Nexys Video 등)에 맞춰 빠르게 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드 전용 설정 및 리소스 묶음인 .bsp 파일이 필요하다. Digilent에서 제공하는 .bsp 파일은 해당 보드에 최적화된 설정이 이미 다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처음부터 복잡한 설정을 직접 하지 않아도 된다. DigilentThe Official Digilent Github Account! Digilent has 310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